본문 바로가기

집밥 요리/중식 레시피5

마파두부(본토방식 재현) 중국 쓰촨성에서부터 시작한 전통 중화요리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익히 알려진 요리이지만, 인지도에 비해 평이한 맛이 대부분이고 해당 요리를 잘하는 중국집은 손에 꼽힐 만큼 찾기 어렵습니다. 진정한 맛을 내려면 돼지기름인 라드를 사용하고 초피나 산초, 화자오 계열은 매콤하고 얼얼한 맛의 향신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중화요리를 주로 하지 않는 가정식에는 생소한 재료들이라 한국식으로 변형되어 된장+쌈장맛에 가까운 두반장을 주로 사용하는 레시피가 대다수입니다. 심한 경우는 고추장 베이스로 변형된 레시피도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본토식 레시피가 맛있는 건 또 아니며 어디까지나 취향 차이입니다. 본 레시피로 소개드리는 방식 또한, 우리에게 생소한 본토방식에 가까울 뿐 맛을 표현할 뿐 100% 맛을 보장하지는 않기.. 2023. 11. 8.
해물 누룽지탕(아님 팔보채) 제목에 팔보채까지 들어간 이유는 기본 재료가 같기 때문입니다. 소스와 조리방법의 차이에 두 요리가 갈라집니다. 더하게는 유산슬로 까지 구분할 수 있는데, 그렇게 쓰기에는 제가 욕심내는 것 같아 딱 두 가지로만 구분하겠습니다. 해물 누룽지탕에는 물 + 전분물, 간장+굴소스 조합에 기름에 튀긴 누룽지를 담궈 만드는 요리입니다. 팔보채는 물 없이 전분물, 간장 + 굴소스 + 고추기름에 누룽지 없이 만드는 요리입니다. 둘 다 중식이지만, 해물 누룽지탕은 가성비 때문인지 큰 중화레스토랑에 가지 않으면 찾기 어려운 메뉴이고, 그나마 이자카야 같은 일본식 선술집에 가야 간단히 만든 안주로 나오는 메뉴가 되어버렸습니다. 그에 비해 팔보채는 여전히 중식의 고급요리로 자리 잡고 있죠. 그런데 왜 두 가지 요리의 가격은 크.. 2023. 10. 24.
탄멘 넷플릭스에 있는 심야식당:도쿄스토리 1편을 보시면 나오는 게 이 탄멘입니다. 본래는 중화면을 사용하고 숙주나물과 야채, 돼지고기를 같이 볶아 닭육수와 섞어먹는 요리라고 합니다. 나가사키 짬뽕과 비슷해 보이지만 해산물과 간장사용 유무에 차이가 있고, 일본에서는 우리나라로 치면 기사식당이나 포차 같은 곳에서 야식과 같은 가볍게 먹는 요리인 듯합니다. 일본에서 만들어 먹지만, 실제로는 중화요리입니다. 이번 레시피에는 중화면대신 에그면을 사용했습니다. 에그면이 더 가볍고 식감이 좋기에 선택했습니다. 아쉽게도, 동네마트에서는 판매를 잘 안 하는 제품이며, 온라인으로 구매가 가능합니다.(가격도 저렴합니다.) [재료] 돼지고기(앞다리살이나 우삼겹 추천), 에그면, 당근, 알배추, 양파, 파, 버섯(보통은 표고버섯, .. 2023. 10. 15.
해물 볶음밥 해물은 냉동제품으로 간단히, 소스는 굴소스를 활용한 중화식 볶음밥입니다. 더 깊은 감칠맛과 진한 향을 느끼시고 싶으시다면 굴소스대신 XO소스를 구매하셔서 사용하시면 좋겠지만, XO소스는 굴소스 대비 비싼 편이기에 가성비에 맞지 않아 레시피에는 기입하지 않았으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재료] 냉동해물 200g, 양파, 당근, 빨강/노랑 파프리카(피망으로 대체 가능), 마늘, 화이트 와인(미림으로 대체는 가능하지만..) 굴소스, 고추기름, 치킨스톡, 후추 [레시피 - 2인기준] 1. 밥 1공기 반을 미리 꺼내어 냉장고에 넣어둡니다. 햇반을 쓰신다면 전자레인지에 돌리지 마시고 실온에 놔두세요. 2. 별도 냄비에 물을 500ml정도, 소주나 청주를 2T 정도 넣고 끓여줍니다. 냉동 해물 200g을 꺼내어.. 2023. 9. 26.
새우 게살 볶음밥 레시피 아이, 어른 할거없이 호불호 없는 중화풍 볶음밥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중화 볶음밥은 색을 내기 위해 당근, 파 정도를 사용하고 맛으로는 굴소스와 기름으로 풍미를 돋구며, 실제 통새우(또는 칵테일 새우)가 들어가는게 특징입니다. 이러한 재료들은 중화풍 웍질(=바오궈)로, 강한 화력에 기름진 재료가 불에 맞닿아 유증기를 뿜어내고 불맛을 얻게 됩니다. 이번 레시피는 집에서도 간단한 재료와 함께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아이와 어른 모두의 입맛에 맞는 레시피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볶음밥은 이러한 부가적인 야채 재료를 조금만 조절해도 밥만으로 충분히 인분수를 크게 늘릴 수 있어, 가족단위로 같이 만들어 먹기 좋은 요리입니다. 요리를 잘 못하시는 아버님들, 도전해 보시고 가정의 사랑을 듬뿍 받아보세요! .. 2023. 9. 18.